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축 용어 정리: 용적률 vs 건폐율 차이점 완벽 비교 🏗️

by 미네바- 2025. 4. 2.

부동산, 건축 관련 정보나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 하나가 **‘용적률’과 ‘건폐율’**입니다. 처음 들으면 헷갈릴 수 있지만, 이 두 개념은 건축 가능 범위를 정하는 아주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적률과 건폐율의 개념, 계산 방법, 차이점, 실생활 적용 사례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 용적률(Floor Area Ratio)이란?

  • 정의: 대지 면적 대비 건물의 총 바닥면적 비율
  • 공식: (연면적 ÷ 대지면적) × 100
  • 예시: 100평 땅에 200평 규모 건물 → 용적률 200%
  • 용도: 얼마나 많은 ‘층’을 올릴 수 있는지를 결정함

💡 연면적: 각 층의 바닥면적을 모두 더한 총합

 


 

📐 건폐율(Building Coverage Ratio)이란?

  • 정의: 대지 면적 대비 건물이 차지하는 바닥 면적 비율
  • 공식: (건축면적 ÷ 대지면적) × 100
  • 예시: 100평 땅에 50평 1층 건물 → 건폐율 50%
  • 용도: 얼마나 ‘넓게’ 지을 수 있는지를 결정함

💡 건축면적: 건물을 지붕 기준으로 수직으로 투영한 면적 (1층 바닥 기준)

 


반응형

 

⚖️ 용적률과 건폐율의 차이점 요약

구분 용적률 건폐율

의미 바닥면적 총합 비율 바닥면적(1층) 비율
층수 영향 높게 지을수록 증가 관계 없음
중요 기준 용적률 높으면 고층 가능 건폐율 높으면 넓게 지음
영향 요소 도심, 역세권 등 개발 밀도 일조권, 조경 확보 등
규제 목적 토지의 효율적 이용 쾌적한 주거 환경 확보

 


 

🏘️ 실생활 적용 사례

  • 고층 아파트 단지: 건폐율은 낮고 용적률은 높음 → 좁은 땅에 높게 지음
  • 단독주택: 건폐율은 높고 용적률은 낮음 → 넓게 퍼지되 낮은 층수

 


 

✅ 결론: 두 개념 모두 확인해야 땅의 잠재력을 읽을 수 있다

건축 및 부동산 개발을 고려할 때, 단순히 대지 면적만 보는 것이 아니라, 용적률과 건폐율을 함께 이해해야 진짜 가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축·투자·리모델링 등을 고민 중이라면, 이 두 지표를 꼭 체크하세요!

 

반응형